PCB산업은 부품산업으로써 전자산업동향에 민감하다. 전자산업 및 국내외 경기와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특히 환율 국제원자재가격 수출시장 등의 상황에 따라 산업의 경기가 크게 변동되는 특성이 있다. 금값 하락은 PCB의 원재료인 금가격 하락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고 있다.
플렉시블 PCB는 구부릴수 있기 때문에 3차원 배선이 가능하고 소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하며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노트북pc 캠코더 등의 중소형 전자제품에 널리 쓰이고 있으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비롯한 각종 모바일 기기의 수요가 급증하고 이고 led tv와 같은 가전제품으로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pcb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PCB(인쇄 회로 기판) 국내 시장 동향
2003년 이후 휴대폰 부품업체와 TFT-LCD 부품업체의 상장 러시로 PCB 업종이 투자순위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 휴대폰 산업의 수익성 하락과 PCB 업체들의 실적 개선에 따라 새로운 투자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음.
주요 PCB 업체들은 새로운 application 의 확보와 거래선 다변화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 능력을 확보하였으며, 2008년 실적악화의 주범이었던 KIKO 로부터도 벗어남.
선발 PCB 업체들을 중심으로 BGA 시장 진출이 활발한 상황인데, 향후 성장성과 기술적 차별화 가능성을 고려할 때, BGA 시장 진출 여부가 PCB 업체간 실적 차별화로 귀결될 것임.
◆ PCB(인쇄 회로 기판) 세계 시장 동향
1. ’10년 세계 PCB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6% 증가한 585억불, ’11년은 5.34% 성장한 616억불.
- IT 경기 회복세와 디지털가전, 디스플레이 시장 확대 등이 세계 PCB 시장의 성장을 자극하면서 4~6층의 다층제품과 Substrate 제품이 시장을 주도.
2. 세계 PCB 시장은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성장
- PCB 생산 1위인 중국은 중저가제품 중심의 양적 확대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TV, PC, 기타 가전 등의 전자제품 생산업체가 많아 내수만으로도 시장확보와 안정적 성장 가능
- 부품 소재에 강점을 지닌 일본은 PCB 원자재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 보유
- 한국은 세계시장 4위로 11%를 점유하고 있으나, 아직은 핵심 부품 소재의 상당부분을 일본에서 수입
3. 휴대폰용 및 반도체용 PCB시장의 성장에 주목
- 용도별로는 휴대폰과 컴퓨터용이 전체 PCB 시장의 53%를 차지
-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등장으로 통신용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면서 연성 PCB 시장의 수요를 견인
- 반도체용은 전체 PCB 시장의 15.8%를 차지, IC-Substrate 시장을 주도
◆ PCB(인쇄 회로 기판) 관련회사
대덕전자 - PCB의 제조 및 판매, 주요 거래처 삼성전자, 하이닉스, CISCO등
LG이노텍 - LG그룹 계열의 종합 전자부품 전문업체로 기판소재사업 영위
삼성전기 -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인 종합전자부품
코리아써키트 - 이동통신 기기용 PCB, 가전제품용 PCB, 고부가가치 반도체 패키지 PCB 등을 생산, 판매
이수페타시스 - 국내 PCB업계 최초로 항공우주분야 품질규격인증 획득
심텍 - 반도체 및 통신기기용 PCB 전문 제조업체
에이엔피 - 양단면 인쇄회로기판, 다층 인쇄회로기판 등 PCB 제조업체
현우산업 - 에어컨, 세탁기, TV, LCD, 셋톱박스 등에 사용되는 양면 PCB와 다층 PCB
대덕GDS - 정보통신 반도체용 디지털 PCB 생산업체
인터플렉스 - 연성인쇄회로기판 전문 제조 업체
디에이피 - 휴대폰용 인쇄회로기판 전문 생산업체
뉴프렉스 -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관련분야의 전문 업체
비에이치 - 연성인쇄회로기판 전문 생상 업체
액트 - 모바일폰과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되는 FPCB를 제조
이녹스 - 연성회로기판용 소재 및 반도체 패키지용 소재 등을 개발, 제조, 판매
상아프론테크 -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전문 생산업체
일진머티리얼즈 - 국내 1위 일렉포일 제조업체, PCB의 CCL용 일렉포일 생산
◆ PCB(인쇄회로기판)란?
PCB는 직접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 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납땜되는 얇은 판입니다.
1. 회로 설계를 근거로 회로부품을 접속하는 전기배선을 배선 도형으로 표현,이에 합당한 방법을 통하여절연물 상에 전기도체를 재현하는 것.
2. 회로 설계를 근거로 부품을 접속하기 위해 도체회로를 절연 기판의 표면 또는 내부에 형성하는 기판.
3. 여러개의 COMPONENT를 장착해서 연속하여 동작할 수 있게 회로를 동선으로 만들어 개별 COMPONENT끼리 연결시켜 놓은것
4.별개의 전자부품들을 배치하고 지지시키는 바탕이 됨은 물론 부품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
5.COMPUTER등의 전자제품의 내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품들이 꽂혀있는 녹색의 회로판
7. 부품의 전기적 연결기능 외의 부품들을 기계적으로 공정시켜 주는 역할도 함.
◆ PCB(인쇄회로기판) 제작 순서
보통의 인쇄 회로 기판이 만들어지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절연체인 에폭시 수지 또는 베이클라이트 수지로 만든 얇은 기판에 구리박을 붙인 후에, 계속하여 구리박으로 남아 있기를 원하는
회로 배선에는 레지스트를 인쇄한다. 그리고 구리를 녹일 수 있는 식각액에 인쇄된 기판을 담그면 레지스트가 묻지 않는 부분은 녹는다.
그 후에 레지스트를 제거하면 구리박이 원하는 형태로 남아있다. 부품을 꽂아야 하는 부분에는 구멍을 뚫고 납이 묻으면 안 되는 곳에는
녹색의 납 레지스트를 인쇄한다.
◆ PCB(인쇄 회로 기판) 산업 전망
전자정보기기의 핵심부품인 PCB는 세계시장 규모면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에 이어 세번째를 차지해, 국가경쟁력을 견인할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스마트기기뿐만 아니라 전자기기, 자동차PCB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국내 PCB산업은 꾸준히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또한 하반기에는 국내 PCB업체들이 시장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설비투자를 통해 제품을 다변화하고 지속적으로, 생산 및 수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 PCB(인쇄회로기판) 관련뉴스
* PCB 산업 육성 위해 산학연관 힘 모은다!
국내 인쇄회로기판(PCB)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산학연관이 결집한 `PCB산업 혁신포럼`이 출범한다.
포럼은 산업통상자원부,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산업기술대학,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전자회로산업협회(KPCA)가 주축이 돼 소재부터 임가공, 제조까지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업체들이 함께 참여한다. 포럼 의장은 이광식 인터플렉스 부사장이 맡는다.
'PCB산업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미세공정은 정체돼도 인쇄회로기판 미세공정은 활기 (0) | 2015.01.06 |
---|---|
반도체 기판 수요 증가 (0) | 2014.10.16 |
레이저 드릴 시스템 - 고밀도 인쇄회로기판 제조를 위한 해결방안 (0) | 2014.08.20 |
올해 PCB업계 화두는 `작게, 얇게, 휘어지게`…KPCA·KIEP2014 개막 (0) | 2014.05.30 |
인쇄회로기판 생산업체,뉴에이스플렉스 레이저 드릴 도입 추진 (0) | 2014.03.24 |